2014-03-06
문자로는 전달할 수 없는 사진만의 매력에 푹 빠진, 사진 좀 찍는다는 문화, 예술계 인사들의 유별한 사진 사랑에 관하여.
기사제공 ㅣ 월간사진
시인과 음악가, 사진가 되다
고성능의 사진 장비가 보편화되고, 사진 인구가 급격히 늘어 나면서 프로와 아마추어의 경계가 점차 모호해지고 있다. 이런 사회적 변화에 발맞추어 각계각층의 사진 애호가를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1980년대 노동 시인으로 가슴 깊은 울림을 남긴 박노해가 대표적이다. 그의 사진은 한 편의 시 자체. 최근 아시아 각국을 여행하며 촬영한 작품들을 모아 사진전
<다른 길>
을 세종문화화관에서 선보이고 있다. 이번 전시는 지난 2010년 열린
<나 거기에 그들처럼>
사진전에 이은 것으로 당시 1만 1천여 명의 유료 관람객을 기록한 것을 감안 했을 때 더 많은 관람객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첼리스트 양성원 역시 사진 마니아로 알려져 있다. 그는 “하루 종일 청각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오감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된다. 사진을 통해서 연주에 집중하는 동안 쌓인 스트레스도 풀고, 시각적인 즐거움을 통해 한 쪽으로 치우친 감각의 밸런스를 맞춘다.”고 말한다.
나>
다른>
문화예술인들의 사진 철학
아나운서 이상협 역시 지난해 사진전을 선보였다. KBS 다큐멘터리
<석굴암>
의 촬영지를 다니며 기록한 사진들로 구성된
사진 예술의 대중화를 위하여
순수 사진 예술의 대중화가 쉽지만은 않은 현 시점에서 대중과 친밀도가 높은 문화, 예술인들이 사진 사랑을 이야기하는 것은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니다. 플럭서스의 대표 주자인 요제프 보이스도 말했지 않은가. ‘모든 사람이 예술가이다.’라고. 물론 누구에게나 가치를 인정받는 예술인지의 여부는 떠나서 말이다. 그런 측면에서 사진을 전공하지 않았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대상을 카메라에 담고 그 사진을 대중과 함께 나누고자 하는 행위는 충분히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