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아트 | 인터뷰

우리의 밤이 아름다워진 이유, ㈜비츠로의 고기영 소장

2006-07-20


암흑 속에서 발견한 듬직한 가로등이 주는 따뜻한 감성을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어둠이 주는 두려움에서 해방된 안도감과 거기에서 비롯된 포근한 느낌, 그리고 시간 속에 묻힌 아련한 생각들을 가로등이 불러일으킨다. 이처럼 단순히 어두운 길을 밝히기 위한 목적을 지닌 가로등이었지만 그것이 가지게 된 상황과 시간은 감성적인 공간을 창조해 낸 것이다. 이것은 또한 인간과 공간, 시간 사이에 놓여지게 된 조명이 실질적인 기능 외에 인간의 감성을 자극할 무한한 창조의 기회를 얻게 된 것을 의미한다.

조명 디자인은 이러한 창조의 기회를 등에 업고 단순한 조명 설비 디자인이 아닌 인테리어 및 건축의 개념과 함께 하는 공간예술로서의 최대한의 가치를 발산하게 된다. 단지 밤을 낮처럼 밝게 비추고 싶었던 인간은 빛을 제외했을 때 나타난 무한한 공간의 매력에 빠지게 된 것이다. 그렇게 나타난 무한한 공간 속에서 자신이 가진 모든 감각을 총동원하여 낮이 가지지 못한 감성을, 또 밤이 가지지 못한 생동감을 갖춘 4차원 공간을 만들어 내는 사람이 있다. 바로 우리의 밤이 아름다워진 이유, 어둠의 공간을 디자인하는 조명 디자이너 ㈜비츠로의 고기영 소장이다.

취재| 이동숙 객원기자 (syukiyab@hotmail.com)

모든 것이 태양빛에 노출되어 숨김없이 드러나는 낮과는 달리 밤은 어둠 속에 감춰진 부분과 밝게 비춰지는 부분이 공존하면서 미묘한 공간을 만들어 낸다. 고기영 소장은 이러한 밤이 주는 암흑을 까만 도화지라고 표현했다. 빛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밤의 세계는 그에게는 무한한 창작의 공간인 것이다. 비츠로의 오픈 프로젝트인 ‘클럽 나인 브릿지’는 세계 100대 골프 클럽에 선정되면서 낮보다 밤이 아름다운 클럽으로 불리는 영광을 얻었다.

낮에 활동이 주가 되는 골프 리조트의 기본 특성에 뒤따라가는 조명이 아닌 밤에만 느낄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는 공간을 조명으로 창조함으로써 그린 야드를 숨긴 밤의 리조트의 적막을 제대로 깨뜨려 주는 작업이었던 것이다. 또한 이것은 클럽 회원들이 누릴 수 있는 또 하나의 혜택으로 다가가면서, 조명 디자인이 하나의 공간예술로서 역할을 다하고 궁극적으로는 인간을 위한 환경디자인을 지향해야 한다는 고기영 소장의 디자인 철학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낮의 활기차던 공기는 밤이 되면 정적이고 차가운 공기로 바뀐다. 이러한 시간에서 오는 공간의 시각적인 변화는 인간의 심리 상태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조명 디자인의 설계단계에서부터 이런 인간의 감정, 심리, 생리적인 변화까지도 고려하여 더 나은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조명 디자인이 건축과 인테리어의 마지막 데커레이션인 메이크업의 개념이 아닌 공간 설계 처음부터 함께 가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는 조명디자인의 필요성이나 요구사항들이 클라이언트들에게 충분히 관철되면서 프로젝트 대부분이 이런 식으로 진행이 되지만, 그 전에는 조명디자인은 그저 마무리 단계에 등장하여 반짝하고 광만 내주는 단계로 인식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런 관념을 깨기 위해 조명디자이너들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 되어야 하며 그 결과물들을 세상에 내보여야 할 것이라고 고기영 소장은 말한다.

대한극장의 리모델링 프로젝트는 작업 초기부터 클라이언트와 인테리어 디자이너, 조명 디자이너가 모여 해외 자료 서베이부터 시작하여 서로의 가지고 있는 컨셉트와 나아갈 방향 등을 함께 설계하면서 더 많은 제안과 아이디어들이 공유될 수 있었던 프로젝트였다. 이렇게 출발한 프로젝트는 다양하게 제안을 할 수 있어 결과물의 중간과정이나 후반부터 참여한 프로젝트보다 그 만족도도 크게 된다고 한다. 단순히 건물을 서포팅하던 개념의 조명디자인은 설계초기 단계에서부터 참여하면서 공간과 조명이 함께 가는 시스템을 갖추게 되고 이는 기존 공간설계가 같지 못했던 감성적인 부분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태양의 기운이 넘어가고 어둠이 서서히 스며드는 도시. 불빛이 하나 둘 연주하듯 켜지면서 순식간에 거대한 오케스트라를 이루며 웅장한 밤의 오페라를 노래한다. 잘 튜닝된 악기들이 좋은 소리를 낼 수 있고 이는 곧 좋은 음악을 들려줄 수 있듯이 밤의 오페라도 마찬가지. 각기 다른 공간 속에 존재하지만 그것들은 같은 정서와 감성에 기인한 조명 건축물들로 최상의 음악을 연주한다. 고기영 소장은 인간의 가장 중요한 감각인 시각에게 선사하는 음악이 바로 조명 디자인으로 음악과 마찬가지로 시간성을 가진 4차원예술이라고 말하고 있다. 음악이 리듬, 박자, 멜로디 등이 혼합되어 나타내는 시간성, 공간성을 표현해내는 4차원 예술이라면 빛을 사용하는 조명 디자인도 고정된 빛 환경에 음악과 마찬가지의 요소들을 가지고 시간성과 공간성을 표현한다는 것이다.

고기영 소장의 섬세한 튜닝을 거친 악기들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차분하면서도 신비한 느낌의 푸른 선율을 뿜어내는 상공회의소, 중후한 무게감이 돋보이는 현대 해상 사옥, 주위 환경과 함께 조심스럽게 숨쉬는 예술공간 포스코 미술관 등이 바로 고기영 소장의 손을 거친 작품들이다. 이 밖에도 2002년 서울시청 앞에 커다랗게 떠있던 월드볼, 제주 테디베어 박물관 등 이루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 이 모든 작품들은 각기 다른 공간, 시간 속에서 존재하면서 주변의 환경을 흡수함과 동시에 자신의 빛을 뿜어내고 있었다. 이들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주변과의 부드러운 조화, 우리나라의 정서를 반영하는 차분하고 소란스럽지 않은 빛의 사용,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스토리와 음악이 존재하는 조명 디자인이란 것이다.

우리나라 조명 디자인(Architectural Lighting Design)이 제대로 사용되고 표현되는 그 날이 머지 않았음을 그리고 그 과정 속에서의 자신의 역할 또한 절대 작지 않음을 인정하고 해낼 수 있는 사람이 바로 고기영 소장이었다.

Jungle : 공간으로의 조명 디자인은 지금도 일반 사람들에게는 생소한 개념인데, 일찍부터 조명 디자인이란 분야에 발을 들인 데에는 특별한 동기나 계기가 있는가.
고기영 소장(이하 고) : 대학에서 환경 디자인을 전공하였는데, 무대 디자인에 관한 강의 도중 빛(조명)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이 되었었다. 그때부터 조명에 대한 막연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던 것 같다. 그리고 방학 중에 한 건축회사에서 인턴쉽의 기회가 있었는데, 그때 주어진 과제가 천정도를 설계하라는 것이었다. 대강 조명을 달아 세팅하는 것에서 벗어나 커다란 무언가를 아우를 수 있는 것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 후, 조명 디자인에 대한 본격적인 공부를 위해 뉴욕 파슨스에 신설된 ‘Architectural Lighting Design’ 과정에 등록을 하였다. 지금도 우리나라에는 조명디자인(등기구 조명이나 기술적인 설계디자인이 아닌 Architectural Lighting Design으로서의 조명 디자인을 의미)에 대한 교육과정이 제대로 갖추어 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니 그 당시 얼마나 생소한 분야로의 도전이었는지 알 수 있다.

Jungle : 조명이 아름다워 돋보이는 건물.(낮에 보이는 부분에 비해)
고 : 어떤 건물을 지목하는 것보다 공간으로 볼 때, 이런 식의 조명이 진정 매력적인 것 같다. 무미건조하고 기계적인 차가운 느낌의 공장을 밤이 되면 조명으로 전혀 다른 느낌으로 변하여 새로운 공간을 연출하는 것이다. 낮과는 전혀 다른 밤의 공간을 빛이 만든다는 것에 대해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그렇게까지 접근을 원하는 클라이언트가 없어 아쉽다. 하지만 우리나라도 고 건축물을 새로 리노베이션 하는 과정에서 이런 결과물이 나타날 듯하다. 외국의 경우 파리나 뉴욕 등의 고 건축물이 낮에는 시간에 의해 마모된 모습이 밤은 조명으로 다른 매력을 발산하는 것을 보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그 대표적인 도시가 뉴욕이란 생각이 든다. 뉴욕에서의 생활에서 비추어 보면 낮의 뉴욕은 복잡하고 차갑고 때론 더럽기도 한 오래된 때가 낀 듯한 도시로 보여지지만 뉴욕의 밤은 빛으로 다시 태어난 공간으로 낮과는 전혀 다른 환상과 낭만을 제공하는 도시였다.

Jungle : 지금까지 진행한 프로젝트 중에 가장 마음에 드는 프로젝트가 있다면.
고 : 하고 나면 부족한 듯한 작품들이라 딱히 꼽을 만큼의 자랑스러운 프로젝트는 없다. 그래도 하나 꼽자면, 제주도에 ‘클럽 나인 브릿지’를 말하고 싶다. 의미적으로 보면 오픈하고 첫번째 프로젝트였고 외국 경쟁사를 물리치고 따낸 첫 번째 프로젝트였으며 세계100대 클럽하우스에 낮보다 밤이 아름다운 클럽하우스로 선정되어 뿌듯했던 기억이 있다.

Jungle : 가장 아쉬움이 남는 프로젝트가 있다면.
고 : 모두 다 아쉬움이 남는다. 다 안타깝고……. 아무래도 클라이언트와의 조율과 예산도 있고 공사의 마무리 단계에서 조명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기에 처음부터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같이 들어가야 하는데 그러지 못해서 아쉬웠던 프로젝트들도 있었다. 작업 중간 클라이언트의 사정에 의해 프로젝트를 수정하게 되는 경우나 경제상황으로 인한 예산삭감 등의 난제를 겪게 되면 항상 많은 아쉬움이 남게 된다.

Jungle : 우리나라의 조명 디자인에 대한 인식변화를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이 있을까.
고 : 첫 번째는 조명 디자인이 굉장이 화려하고 페스티벌한 개념이 강해서 무척 강하고 형형색색의 조명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이것이 한 일부분일 뿐 조명디자인은 주변 환경, 정서, 조화롭게 어울리는 것으로부터 출발하는 디자인으로 생활 속에서 쉽게 접근이 될 수 있는 것이란 인식변화를 꾀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앞으로 조명디자이너들이 작업을 통해 바꿔나가야 할 몫이라고 생각한다. 두 번째는 클라이언트들이 조명디자인이 화장을 하는 개념이 아닌 처음부터 함께 가야하는 것으로 인간중심의 조명디자인이라는 의식변화가 되어야 한다. 현재는 많은 프로젝트가 초반부터 함께 가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으로 클라이언트의 의식이 많이 변화했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Jungle : 우리나라만의 특징적인 조명 디자인 경향이 있다면
고 : 소프트하고 은근한 멋이 느껴지는 조명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청자나 백자를 비추는 상황을 보자. 이들의 비추는 조명은 강한 직접조명을 사용 하지 않는다. 외부에서부터 몇 번을 거쳐서 들어온 빛이 그들을 비추면서 만들어진 은은한 느낌이 바로 우리네 환경이 만들어낸 고유의 빛인 것이다. 이렇듯 주변과 함께 어우러진 은근한 멋이 있는 빛이 살아있는 우리나라만의 조명 디자인을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Jungle : 세계시장의 조명 디자인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고 : 미래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빛이 아닐까 생각한다. 인간의 감각 중 시각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만큼 빛은 환경을 컨트롤하고 생명과 직결된 중요한 부분이다. 그런 측면에서 세계시장의 경향을 보면 첫 번째는 자연광에 열광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인공광은 일정한 환경을 제공했었다. 하지만 우리의 지구환경은 시간에 따라 다르고 인간 또한 그에 따라 신체 리듬이 변화한다. 자연광처럼 인공광원도 인간의 신체적 상황에 따라 빛의 양과 색 등이 따라 변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름을 붙이자면 ‘감성조명”이라 할 수 있는 이 경향으로 인해 조명이 앞으로도 끊임없는 발전과 변화를 거듭하게 될 것이다. 두 번째는 이것을 실현할 기술이 개발된 것이다. ‘LED’라는 최첨단 기술은 인간의 삶을 바꿀만한 획기적인 기술로 주목 받고 있는데, 아직 실용화 단계는 아니지만 몇 년 후에는 새로운 조명 시대를 열게 될 것이다.

Jungle : 조명 디자이너를 꿈꾸는 사람들을 위한 실질적인 방법과 조언을 부탁 드립니다.
고 : 사실 조명디자이너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타나지만 확실한 방법을 제시할 과정이 없다. 대학에서 한 학기에 클래스로는 있지만, 대부분이 등기구 디자인이나 기능적인 구조 계산에 의한 공학적인 조명 설계의 공부를 주로 하지 인간의 다양한 감성이나 그 외적으로 접근하는 커리큘럼이 없다. 빛이란 것은 총체적인 학문을 아우르기 때문에 대학에서는 다양한 학문으로 총체적인 지식을 배운 뒤 대학원 과정에서 이런 모든 것을 동원하여 조명 디자인을 공부할 수 있는 과정이 필요하다.

실질적인 조언을 하자면, 첫 번째는 공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겠고 두 번째는 인간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빛을 통해서 인간의 심리, 신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인간에 대한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 세 번째는 눈으로 보여지는 모든 사물들, 태양, 종이, 연필 등 사소한 내 주변에 있는 모든 시작적인 것들에 대해 경험을 쌓아라. 경험 속에서 쌓는 디자인에 대한 자신만의 기준을 만들어 가야 한다.

출근길 버스에 앉아서 바라보는 창가 풍경이 평소와는 다른 느낌의 모습으로 다가온 경험이 있는가. 그런 시각적인 변화에 대해 어떤 것으로 인해 이런 변화가 생기고 나에게 색다른 모습으로 다가올 수 있었는지에 대해 고민해 본적이 있는가. 당신이 조명 디자이너로서 또는 어떠한 분야든지 우리를 둘러싼 환경에서 얻는 수많은 시각적인 경험은 실로 중요하다. 지금 이 시간의 공기가 가져다 준 냄새부터 시작하여 그 냄새가 불러일으킨 감정, 추억 등 꼬리에 꼬리를 무는 감각 릴레이에 당신의 모든 촉수를 동원하여 맘껏 느끼고 받아들여라.

그런 다음 당신만의 디자인 기준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고기영 소장은 이것이 조명 디자이너가 되고 싶다면 제일 먼저 시작해야 할 일이며, 일상에서 만나는 시각적인 경험이야 말로 거저 얻을 수 있는 무궁무진한 아이디어의 보고(寶庫)라고 말한다. 이러한 일상의 시각적인 경험을 강조하는 이유 또한 앞에서 언급했듯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인간을 존중하는 조명 디자인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끊임없이 발전만을 거듭하며 인간을 뛰어넘고 자연을 뛰어넘는 것을 추구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인간과 인간을 떠안은 자연에 있다는 진리를 한번 더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