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컬쳐 | 리뷰

공공디자인 국제심포지엄 발표자 인터뷰

2008-07-01

지난 6월 20일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공공디자인 국제심포지엄이 열렸다. “서로를 향한 배려, 공공디자인”이라는 주제아래 열린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배려를 통한 상생으로서의 공공디자인을 생각하게 만든 자리였다.
‘공공공간에서 생산적인 장소로 : 지역특성과 시민 참여의 자율적인 시스템으로써의 공공공간’을 주제로 지역의 장소와 자원, 사회적 참여의 매개체로써의 공공공간의 중요성에 중점에 대해 발표했던 피터 드뢰기(Peter Droege) 교수와 ‘일상에서 깨닫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주제로 디자인에서 시작되어 디자인으로 마무리되는 매일의 생활과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해 발표했던 나카가와 사토시(Nakagawa Satoshi) 트라이포드 대표를 만나 ‘배려하는 공공디자인’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보았다.

정글과 인터뷰한지 3년이 지났다. 그동안 어떤 변화가 있었나.
나 자신의 내부에 대한 문제이기도 한데, 유니버설 디자인의 프로세스 가운데 사용자를 조사하고 분석한다든가 디자인의 계획 방법에 대한 사고방식이 조금 변했다. 다시 말해서 디자인을 위한 사고방식의 매카니즘이 새로워진 것이다.
예를 들면 무엇을 보고 들은 후에 섣불리 모두 알았다고 판단하고 서둘러 사물을 디자인하는 것이 틀렸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본 후에 알았다고 생각하고 바로 디자인하는 프로세스 사이에 뭔가 빠뜨린 것이 있는 것 같았다. 무언가를 보고 들었다고 했을 때 무엇을 보고 들었는지, 그래서 무엇을 알게 됐느냐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질문을 하게 되는 단계가 생긴 거다. 그래서 정말 알게 됐는지, 무엇에 대해 알게 됐는지에 대해 섣불리 속단하기 보다는 한 번 더 생각하게 된 것이 가장 큰 변화라고 생각한다.

유니버설 디자이너로서 장애를 바라보는 관점이 궁금하다.
설명하는 것 보다 최근에 겪었던 일로 설명하는 편이 이해가 쉬울 것 같다. 첫 번째는 작년에 시각장애인들과 함께 벚꽃놀이를 갔을 때의 일이다. 시각장애인들에게 벚꽃놀이를 권했을 때 그들은 지금까지 한 번도 그런 권유를 받아본 적이 없다며, 자신들에게 벚꽃놀이를 권하는 이유를 묻더라. 소리나 냄새, 촉각으로 얼마든지 즐길 수 있지 않느냐며 벚꽃 놀이를 강행했다. 무사히 벚꽃놀이를 마친 후 시각장애인들로부터 메일이 왔는데, 볼 수는 없었지만 그 장소에 모인 사람들의 감탄사를 통해 벚꽃놀이가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고 했다.
시각장애인들이 30 ~ 40년을 살아오는 동안 아무도 벚꽃놀이를 권하지 않았다는 것에 놀랐고, 시각장애인들에게 있어서 벚꽃놀이는 결국 꽃을 보는 것이 아니라 꽃을 보고 있는 사람들의 기분이나, 분위기로 전달된다는 것을 알게 됐다.
두 번째는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의 관장이 일본을 방문했을 때의 일이다. NHK의 특별 프로그램 때문에 NHK에서 나온 인터뷰어와 나, 그리고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의 관장이 가마쿠라의 원각사라는 절을 방문하게 됐다. 절을 둘러보고 난 뒤 인터뷰어가 그녀에게 경내도 길고 경사도 많았는데 힘들지 않았느냐고 묻자 그녀는 슬로프 덕분에 우리 세 사람의 우정을 알게 됐다고 대답했다. 나와 인터뷰어가 그녀에게 좋은 풍경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그것으로 세 사람 사이의 우정이 있음을 알게 됐다는 것이다. 물리적인 슬로프는 있었지만 마음의 슬로프는 없었다는 그녀의 말에 장애인이 장애를 극복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장애를 느끼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그리고 훌륭한 사람은 장애 유무를 떠나 인식이 남다르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최근 15년간 장애인들로부터 시를 모아 그 중에서 잘된 것을 가지고 각계 유명인사와 전시를 겸한 낭독회를 연 적이 있다. 거기서 청각장애를 가진 젊은 아가씨가 쓴 시를 보고 놀란 적이 있다. 그 아가씨는 시에서 귀는 들리지 않지만 귀의 형태를 좋아한다고 했는데, 피어스를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아가씨의 시 덕분에 불편을 가진 사람들이 단지 ‘불편한’ 사람이 아니라 나의 선생님이라고 생각하게 됐다. 그들은 내가 몰랐던 사물을 보는 방법이나 사물을 보고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아주 훌륭한 선생님이라고 생각한다.

유니버설 디자인에 필요한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대화라고 생각한다. 사용자 그룹을 선정한 후에 그들이 어떤 대화를 하는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대화라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는 사용자를 관찰하고 통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용자에게 매뉴얼을 주고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로운 환경을 주고 사용자가 사용하는지 하지 않는지를 비롯해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이 운전할 일은 없겠지만 자동차를 가져다 놓고 시각장애인이 자동차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조사가 끝이 아니라 조사 과정에서 사용자를 관찰하고 읽어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어떤 사물을 만들 때는 타겟 유저와 논타겟 유저가 있는데 타겟 유저에게만 사용하게 하고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논타겟 유저에게도 사용하게 한 다음 타겟 유저와 논타겟 유저하고 차이가 생기는지를 관찰하는 것이다. 물론 사물은 타겟 유저를 위해 만드는 것이지만 타겟 유저를 위한 디자인 가치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발견하기 위한 노력인 것이다.
타겟 유저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으로 생각했었는데 알고 보니 타겟 유저에 대해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섣불리 예상한 것에 신뢰가 가지 않고 그것에 의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됐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저변이 넓어지고 있다고 하지만 작업환경에 대한 아쉬움이 있을 것 같다.
욕심이자 희망이 있다면 장애가 있는 사람도 디자인을 느끼고 좋은 디자인의 혜택을 받고 더 나아가 디자이너가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대학에서 이것을 강조하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현실적으로는 어려운 부분이다. 그래서 작업 과정이나 그 결과물에 있어서 장애인 자신이 디자이너가 될 수 있을 정도의 작업 환경을 만들고 싶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다.

그 아쉬움이 일본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것인가? 아니면 유니버설 디자인 자체에 대한 것인가?
방금 이야기한 것은 내 자신에 대한 반성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한국이나 타이, 인도 등 아시아에서 아시안이라는 공통점이 어느 정도 있는데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넘어서 어떤 정보를 공유하고 정보를 공유한 사람들의 커뮤니티를 만들어서 장애인이 디자이너가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고 싶은 게 있다.
장애인이 직접 디자인을 한다는 것에 흥미를 가진 사람이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있다. 그걸 알고 있긴 한데 그들이 어떻게 활동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잘 모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단은 공통 언어로 서로가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싶다. 대화하려는 사람이 있는데 대화의 기회를 놓치는 것만큼 아까운 것이 없다. 그런 의미에서 디자인 정글이 공통 언어를 형성하고 커뮤니티가 만들어지는 데 많은 역할을 해줄 수 있을 거라는 기대도 갖고 있고, 부탁도 하고 싶다.

진정한 의미에서 공공디자인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공공 공간이라는 것은 사람들이 만나 소통하고 함께 일할 수 있는 장소인데, 현재의 도시는 개인적이고 사람들이 만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 도시 계획을 정부가 주도하면서 이익을 위한 시설들에 치중하다 보니 그런 게 아닐까 한다. (테이블 위의 접시와 물병을 움직이며) 이게 도시이고, 이게 건물이라면 모두 각각의 건물에만 신경을 쓰고 건물과 건물 사이의 공간은 신경 쓰지 않는다.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 빈 공간을 활용해 건물과 건물을 이어주는 디자인을 통해 사람들이 만날 수 있는 공간으로 바꾸는 것이 공공 디자인이다.

공공디자인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조경 및 도시환경을 떠올리는 것 같다. 환경을 생각하는 공공디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조경디자인은 넣어야 하니까 넣는 경우가 많은데 그 공간이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 공공디자인은 실용성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디자인에 앞서 공간을 사용할 대상에게 필요한 실용적인 공간을 디자인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도시 계획이 디자인과 연결되는 부분은 무엇인가?
사실 모든 사물에 디자인은 들어있다. 어떤 것이 좋은 디자인이고 나쁜 디자인이냐가 문제인 거지. 공공디자인에서 좋은 디자인이란 지역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켜주면서 아름다워야 하고, 무엇보다 실용적인 것을 말한다.
지금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에너지를 스스로 생산하지 못하고 다른 곳에서 공급받는다. 이것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면 상관 없겠지만 언젠가 지역별로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공급해야 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그것을 대비해 도시 단위가 아니라 도시 안의 작은 마을 단위로 공공디자인을 접목시켜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마을 사람들에게 도움되는 것, 필요한 것, 그리고 에너지 공급 시스템 등이 자발적으로 생산되고 공급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공공 공간이자 공공 공간에서의 생산성이다. 한 마을의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고 마을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발전해 재생 에너지를 생산해낼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어떻게 보면 농촌이야말로 생산적인 공간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도시 사람들은 농촌을 낙후된 공간으로 생각한다. 농촌의 생산적인 공간을 도시에 가져와 접목시킬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나.
일본에서 70~80년대 사용했던 프로그램이 있다. 그 프로그램은 작은 마을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해서 마을 안에서 글쓰기나 사진 콘테스트를 열어 마을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었는데, 관심이 없어도 알 수 밖에 없도록 해서 공공 공간을 인식하게 하는 프로그램이었다. 시간이 얼마나 오래 걸리든 마을 사람들이 공공 공간에 대해 이해한 후에 그것을 계획하는 시스템이다.
무작정 계획부터 세우고 바꿔나가는 게 아니라 구성원이 공공 공간에 대해 생각해 보고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필요한 것을 충족시켜 나가는 과정이 굉장히 중요하다. 자꾸 도시라는 큰 단위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도시 안의 마을을 생각하고 작은 단위의 공공 공간부터 다듬어 나가는 것이 방법이다.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