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김성수 작가의 '섬진강x생명의 정원' (사진제공 : 지리산아트팜)
섬진강의 굽이치는 물줄기처럼 유구한 생명력을 담은 예술 작품이 섬진강의 중심, 전라남도 곡성에 새롭게 탄생했다. 조형예술가 김성수 작가의 '섬진강x생명의 정원'이다.
김성수 작가는 지난 4월 초, 섬진강 222.05km의 정중앙에 위치한 옛 송정역터에 '섬진강x생명의 정원'을 완성하며 지역 문화 예술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섬진강이 4대강 사업에서 제외된 것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는 김성수 작가는 작품의 영감에 대해 "섬진강이 4대강에 포함됐었는데, 나중에 빠진 것을 보고 섬진강만이 가진 특별함은 무엇일까 궁금했다. 오랜 세월 동안 손상 없이 지켜온 섬진강의 유구한 생명력을 곡성에서 나는 간벌목 등의 자연 재료를 통해 표현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작품 '섬진강x생명의 정원'은 섬진강의 굳건한 생명력을 시각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김 작가는 "아마 섬진강만큼 우리나라 강에서 풍부한 자연 생태계의 종을 보유한 곳은 없을 것이다. 그 풍성한 생태계가 작품 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하며 섬진강의 생태적 가치를 강조했다.
자신의 작품을 자연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대지 예술'의 한 형태로 소개한 김성수 작가는 현대 사회의 흐름과 작품의 의미를 연결했다.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우리는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야 할 시기를 맞이했다. 최근 발생하는 산불과 같은 자연재해는 이러한 변화를 더욱 실감하게 한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자연이 가진 힘과 복원력을 예술적으로 표현한 작품을 선보이고자 했다."
특히, 기후 위기 상황 속에서 섬진강이 가진 의미는 더욱 크다고 말하는 김성수 작가는 "기후 위기는 이미 우리 눈앞에 닥친 현실이다. 섬진강은 자연의 힘, 파괴력, 그리고 놀라운 복원력을 동시에 보여주는 상징적인 존재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김성수 작가는 섬진강, 지리산, 남해안과 같이 비교적 잘 보존된 자연환경에 대지 예술과 환경 미술을 접목하는 것이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간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예술은 앞으로 더욱 필요하며, 세계적으로도 자랑할 만한 보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이 지역부터 예술을 통한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대지 미술의 특징을 언급한 김성수 작가는 "대지 미술은 자연 속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의 미술관과는 다른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다소 거리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자체가 작품의 중요한 부분이니 편안한 마음으로 방문하여 섬진강의 아름다움과 함께 작품을 감상하면 좋을 것 같다"며 관람객들의 방문을 독려했다.
섬진강의 중심에서 굳건한 생명력을 예술로 꽃피운 김성수 작가의 '섬진강x생명의 정원'은 섬진강의 자연과 문화적 가치를 되새기고, 지역 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의미 있는 작품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디터_ 정준(corcso@naver.com)
#김성수작가 #섬진강 #섬진강생명의정원 #섬진강의자연과문화적가치 #대지예술 #대지예술과환경 #대지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