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컬쳐 | 인터뷰

[정&장 듀엣 인터뷰] 국내 최초의 아트 디렉터, 이상철 디자이너

2023-11-10

디자이너 이상철(1944~)은 국내 최초의 아트 디렉터로, 잡지 <뿌리깊은나무>, <샘이깊은물>의 아트 디렉팅을 맡았다. 한국 디자인 역사에서 첫 아트 디렉팅 시도를 통해 한글 전용, 가로쓰기 등의 편집 방식을 선보였던 <뿌리깊은나무>의 획기적인 디자인은 이상철의 손을 거쳐 탄생했다. 이상철은 광고까지도 디자인해 잡지와 어우러지는 편집을 펼쳤고, 기품이 있는 잡지를 완성시켰다. 

 

 

이상철 디자이너

 

 

우리나라에서 편집디자인을 하는 모든 디자이너에게 그는 신화와 같은 존재다. 하지만 그의 디자인 능력은 편집디자인에만 그치지 않는다. 편집디자인을 넘어 CI, 브랜딩, 전시, 공간 등, 분야를 넘나드는 다양한 디자인 활동을 펼치며 디자인에 대한 탁월한 식견을 보여준 그는 수많은 디자이너들의 귀감이 됐다. 80이 넘은 나이지만 그의 디자인은 지금도 한창 진행 중이다. 

 

 

 

 

 

 

 

 

 

 

 

 

 

 

 

 

 

 

 

 

이상철 디자이너의 CI, BI 디자인

 

 

한국 디자인의 역사를 펼친 이상철 디자이너는 브랜드 디자이너에게도, 편집 디자이너와 인포그래픽 디자이너에게도 ‘꼭 만나고 싶은’ 존재였다. [정앤장 듀엣 인터뷰]를 진행하는 정석원 편집주간과 203인포그래픽연구소 장성환 대표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들은 한국 디자인의 거장 이상철 디자이너를 만나 두 번째 정앤장 인터뷰를 가졌다. 인터뷰는 디자인 이가스퀘어에서 이루어졌고, 그는 온화한 미소로 취재진을 반겨주었다. 

 

이상철 디자이너와 정석원 편집주간, 장성환 203인포그래픽연구소 대표

 

 

정석원 편집주간(이하 정): 디자이너로서의 첫 번째 활동은 무엇이었나.

 

디자이너 이상철(이하 이): 사회에 디자이너로서 첫 발을 내디딘 것은 한국산업은행이었다.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지원했으나 낙방했고, 학교에서 추천한 한국산업은행에는 뽑혔다. 

 

장성환 203 대표(이하 장): 한국 최초의 아트 디렉터로 활동하셨다. 당시엔 아트 디렉팅이라는 개념도 잡혀 있지 않았을텐데.

 

이: 디자인에 대한 개념이 제대로 서지 않았을 때였다. 나 역시도 디자인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한국산업은행에서 일할 당시 저녁엔 엘리건스 인티어리어(현 계선산업)라는 인테리어디자인 회사에서 일을 했다. 사무실은 그 당시 ‘신세계’였다. 그곳에서 찰스 임즈, 마르셀 브로이어 등의 실물 의자 디자인과 접했고, 미국의 <인더스트리얼 디자인>, 이탈리아의 <도무스>와 같은 유명 디자인 잡지들을 볼 수 있었다. 또, 한국산업은행 근처의 명동 뒷골목에는 외국 잡지를 파는 곳이 있었다. 미8군에서 흘러나오던 것들이었는데, 표지는 찢겨 있었고 성치 않았다. 어쩌다 나오는 좋은 잡지들이 눈에 들어왔다. <내셔널지오그래픽>, <타임>, <룩>, <플레이보이> 등의 편집 디자인이 좋았다. 그것들을 보면서 잡지 편집디자인을 스스로 배우고 익혔다. 

 

<뿌리깊은나무> 표지 이미지

 

 

정: <뿌리깊은나무>엔 어떻게 가게 되셨나.

 

이: 저는 한국산업은행에서 9년간 있었는데, <뿌리깊은나무>의 발행인인 한창기 씨가 함께 하자고 제안을 했다. 

 

장: <뿌리깊은나무>의 의미, 무엇이라 보시나.

 

이: 저는 한국의 전통문화를 <뿌리깊은나무> 편집 작업을 통해 이해했고, 그 잠재 가치를 알게 되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한국 지사장이던 한창기씨가 보니, 그 당시 그 세계적인 백과사전에 한국은 대여섯 페이지 정도 밖에 소개가 안 되어 있었다. 한국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한사장은 이것을 100여 페이지 가량으로 늘리는 작업을 했다. 

 

이런 작업을 통해 한국 전통문화에 대해 점차 알게 됐다. <뿌리깊은나무>도 마찬가지다. 우리 대학교육이 서양교육체제로 가고 있어서 학생들에게 한국의 정체성을 올바르게 이해시켜야 하겠다는 생각으로 <뿌리깊은나무>를 창간하게 된 것이다. 

 

정: 편집디자인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도 많은 활동을 하셨다. 

 

이: 엘리건스 인티어리어에서 일할 때의 경험들로 인해 환경, 건축, 인테리어, 가구, 그래픽, 사진,예술, 조경까지 다양하게 생각하는 습관이 일찍이 생겼다. 편집과 광고 분야의 일을 먼저 시작했는데, 당시엔 브랜드라는 말도 없었다. 그냥 신제품이 나오면 상표를 붙이고 마케팅 전략도 없이 광고 전략을 짜서 판매를 하는 식이다. <뿌리깊은나무> 시절엔 잡지에 들어오는 광고들을 직접 디자인했다. 잡지 성격에 맞춰 디자인을 했고 한샘, 코오롱, 종근당 등의 여러 기업 광고 작업을 했다. 

 

정: 당시의 그러한 디자인은 기업 광고의 모델이 됐다. 

 

장: <뿌리깊은나무>의 카피도 굉장히 깊이 있게 전개가 됐고, 선생님의 디자인과 정말 잘 맞았던 것 같다. 

 

정: 발행인이었던 한창기 선생과는 관계가 어땠나.

 

이: 형제같이 지냈다. 한창기 씨의 집에서 늦은 밤까지 이야기도 참 많이 했다. 한창기 씨는 브리태니커 관련 일로 매년 미국에 출장을 갔는데, 내가 관심 있는 책이며 문구류들을 많이 사다 주었다. 나를 굉장히 재능 있는 사람이라 생각했다. 고마웠다. 

 

 

<샘이깊은물> 표지 이미지

 

 

장: 다양한 디자인 활동을 하셨는데, 그래도 <뿌리깊은나무>를 빼놓을 수 없을 것 같다. 저의 첫 직장이 <리더스다이제스트>였고, 동아일보에서 여러 가지 잡지를 디렉팅했다. 그러다 보니 예전 잡지 창간호들을 모았는데, <뿌리깊은나무>, <샘이깊은물>도 있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과거의 잡지들에서 중요한 것들을 발견했다. 출판계에서 가라몬드를 쓰지 않으면 백안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저는 컴퓨터 1세대로 당시 맥킨토시의 서체들은 가라몬드가 아니었는데, 많은 책들이 가라몬드를 쓰는 것이 신기했다. 

 

그 답을 <뿌리깊은나무>의 창간호에서 찾았다. <뿌리깊은나무>에 사용된 영문서체가 가라몬드였다. 당시 국내사정상 한글활자 만들기에도 급급했기에 영문은 수입된 가라몬드 활자를 썼고 출판계가 관습적으로 그것을 이어받은 것이었다. 정말 다양한 기법들을 시도하신 것들을 발견할 수 있다. 요즘 젊은 친구들 사이엔 ‘<뿌리깊은나무> 다시 읽기’도 이루어지고 있다. 정제된 사회상을 담은 잡지로 정말 가치가 있다. 디지털화가 되어서 많은 사람들이 열람할 수 있게 됐으면 좋겠다. 이렇게 의미 있는 책이 언론통폐합으로 1980년 폐간됐고, 1984년 <샘이깊은물>을 창간하게 되었다. 서슬이 퍼런 시기였는데, 또 다시 창간을 하게 된 동력은 무엇이었나. 

 

이: <뿌리깊은나무>가 폐간됐을 당시 국회에서도 다시 복간하자는 이야기가 많았다. 좋은 교양 인문잡지로 정치를 다룬 것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뿌리깊은나무> 복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고, 또 <뿌리깊은나무> 창간 때부터 자매지로 염두에 두었던 <샘이깊은물>을 창간하게 됐다.  <샘이깊은물>은 여성지로 생활문화를 다루었기에 <뿌리깊은나무>와는 성격이 조금은 달랐고, 광고 유치가 훨씬 수월했다. 

 

장: 모든 여성지에서 미스코리아나 여배우로 표지를 장식할 때 <샘이깊은물>은 일반 여성들의 흑백 포트레이트로 표지를 모노톤으로 디자인했다. 굉장히 획기적이었고 화제가 많이 됐다. 

 

이: 1년 12달 중 1월달 표지는 우리 전통문화의 지속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 옛 그림에 표현된 여인상으로 표지를 디자인했다. 2월부터 12월에는 일반 여성들이 표지 모델이 됐다. 사진 기자는 물론 일반 직원들도 취재하면서 길에서, 찻집에서 우리가 가진 의도와 맞는 사람들을 뽑아서 선정했고, 화장기 없이 자연스러운 모습을 가진 사람을 찾았다. 노력을 참 많이 했다. 처음엔 부모님의 반대로 모델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시간이 가면서 잡지에 대한 이미지가 형성되고 나서는 오히려 부모님의 추천으로 모델을 하게 되는 경우도 많았다. 

 

샘이깊은물체

 

 

장: <샘이깊은물>을 통해 탈네모틀 글자꼴인 ‘샘이깊은물체’를 공개, 탈네모틀 한글꼴 대중화를 이끄셨다. 어떻게 작업하게 되셨나.

 

이: <샘이깊은물>의 제호로 쓰인 ‘샘이깊은물체’는 1975년부터 1983년까지, 한글의 기계화·전산화 작업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한글 글자꼴로, <샘이깊은물>창간호에 공식 발포되면서 남·북한에 두루 사용할 수 있도록 재능기부되었다. ‘샘이깊은물체’는 당시 텍스트 입력장치가 타자기에서 워드프로세스, 컴퓨터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조합형 탈네모틀 서체로 발표되면서 이후 많은 탈네모틀 서체의 개발에 영향을 주었고, 또 한국 IBM과 협력하여 ‘샘이깊은물체’의 굵기와 형태를 보완한 일반 본문서체를 개발하기도 하였다.

 

장: <샘이깊은물> 이후에 다른 잡지는 안 하셨나.

 

 

이상철 디자이너의 그래픽 디자인

 

 

이: 요청이 많았다. 당시엔 <뿌리깊은나무>를 작업한 것이 여러 출판사에 강한 인상을 주어, 문학지, 사상지, 아동잡지, 여성지 등 몇 곳을 도와주었다. 

 

장: 이후 어떤 프로젝트들을 하셨나.

 

 

 

 

이상철 디자이너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 저의 첫 개인 디자인 사무실 ‘이가솜씨 어소시에이츠’를 <뿌리깊은나무> 창간 이전에 설립했다. 이가솜씨 어소시에이츠는 크고 작은 프로젝트를 많이 다루었는데, 초기 작업은 맞춤정장 시대에서 기성복 시장을 개척한 신사복 '캠브리지', 국내 최초로 시스템 키친을 선보인 '한샘', 국제 규모의 5성급호텔 '신라호텔 HI(Hotel Identity Program)'를 ‘서인 인테리어’와 파트너쉽으로 수행, 아파트 주거의 선구자 '삼호주택' 등의 프로모션 디자인을 전개하면서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현대적인 감각의 디자인을 보여주었고, 더 나아가 단순 디자인 작업이 아닌 클라이언트와 마케팅 전략, 상품 개발, 소비자 연구, 회사의 이미지 전략에 까지 깊게 관여하게 되었다. 

 

이가솜씨 어소시에이츠는 종합 디자인 회사로, 거의 모든 분야의 디자인 서비스를 하게 되었다.기업의 브로슈어, 애뉴얼 리포트 등의 에디토리얼 디자인, 네이밍 개발, 기업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상품의 브랜딩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패키지 디자인, 마케팅 전략 개발 및 광고 프로모션 디자인, 판매 환경 및 인테리어 디자인, 싸이니지 디자인 등 그래픽 디자인에서 출발해서 점차 공간 디자인으로 또 전략개발과 프로젝트 개발에 이르기까지 서비스의 폭과 깊이를 확대해갔다. 따라서 저의 역할도 아트 디렉터에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디자인 컨설턴트, 토탈 마케터, 프로젝트 프로듀서로 역할을 넓히게 되었다. 

 

1997년에는 이가솜씨 어소시에이츠를 디자인 이가스퀘어로 법인화하면서 회사를 재편하고 디자인 고문역할을 맡았다. 보다 전문적인 디자인 서비스를 위해 소수 정예 스텝으로 조직화하면서 저는 키 컨셉과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를 맡고 기타 전문 분야는 네트워크 체제로 외부 전문인력이 일을 풀어 가는 방식이다. 

 

 

 

 

이상철 디자이너의 전시 디자인

 

 

업무 범위도 기존 업무 범위에 더해 경기도박물관 전시디자인, 고궁박물관 전시디자인, 재단법인 예올의 '올해의 장인' 프로젝트를 통한 전통공예 현대화 작업, 바르샤바와 LA의 한국문화원 개발, 뉴욕 UN본부에서 열린 한국전통공예전 전시, 볼로냐국제아동도서전 주빈국 전시, 디자이너 디터 람스와 엔조 마리의 국내 전시 주관, 리차드 마이어가 설계한 기본설계를 기초로 강릉 씨마크호텔의 건축 구현을 위한 시각 디자인과 공간 디자인 개발 및 아트워크 프로듀싱, 사업개발 프로젝트 같은 의미 있는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또한 국제화 시대에 국제 기준의 호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전시와 오피스를 위한 독일의Architectural Modular System, ‘Burkhardt Leitner constructive’, 이태리의 오피스 시스템 ‘Unifor’와 20여 년간 파트너쉽으로 일했다.

 

정: 현재도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가.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이: 미국에 있는 상업공간을 사업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검토 중이다. 우리 전통문화의 잠재력을 조화롭게 접목시켜 볼 계획이다.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에 꼭 하고 싶은 프로젝트는, 우리 전통문화를 세계문화와 어울리면서도 우리의 고유성을 살리는 작업, 이미 개발된 샘이깊은물체를 Refine 작업을 통해 영어와 병행해서 아름답게 쓰일 수 있도록 영어 서체를 개발하는 작업, 우리 전통 정서에 맞추어 표현할 수 있는 색채 정리작업, 일상에 쓰이는 물건의 조형개발 작업들을 하고 싶다. 관심 있는 분들과 협업도 생각하고 있으니, 필요하시면 저희 사무실을 찾아달라. 

 

인터뷰어_ 정석원 편집주간, 장성환 203인포그래픽연구소 대표
에디터_ 최유진 편집장 
 

facebook twitter

#국내최초의아트디렉터 #국내최초 #아트디렉터 #이상철디자이너 #이상철 #뿌리깊은나무 #샘이깊은물 #편집디자인 #광고디자인 #인테리어디자인 #CI #BI #샘이깊은물체 #이가솜씨어소시에이츠 #디자인이가스퀘어 

최유진 에디터
감성을 어루만지는 따뜻한 디자인, 마음을 움직이는 포근한 디자인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