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스페이스 | 리뷰

쓰레기의 화려한 부활

2011-01-07


매립지로 가야할 폐기물들이 디자인의 화려한 옷을 입고 명품으로 재탄생하는 리자인 (Recycle+Design) 시대가 열리고 있다.

기사제공 │ 디자인DB (designdb.com)

미국의 에코이스트(Ecoist)는 사탕포장지, 음료수 라벨 등으로 패션 핸드백을 만들어 카메론 디아즈, 패리스 힐튼, 킴 캐트럴과 같은 할리우스 스타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코카콜라, 디즈니, 마스(Mars), 프리코 레이(Frico Lay)등의 기업들로부터 필요 없거나 잘못 프린트된 폐기물을 공급받아 핸드백, 지갑, 팔찌 등 다양한 패션상품을 수작업으로 만든다. 가격은 크기와 종류에 따라 20달러에서 150달러까지 다양하다. 이 회사 핸드백은 2008년 독립 핸드백 디자이너 어워드에서 베스트 그린 핸드백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최근 4년간 1,500만개 이상의 사탕포장지와 음식 패키지를 매립지로부터 구해내 패션상품으로 부활시킨 것이다.

스위스의 프라이탁(Freitag)은 다 쓴 트럭천막을 명품 핸드백으로 탄생시켰다. 프라이탁 핸드백은 튼튼한 방수천 재질에 어깨끈은 자동차 안전벨트로 만들어졌고 폐 자전거 튜브로 고무부분을 마감했다. 1년에 사용하는 재료가 방수천 200톤, 자전거튜브 7만5천 개, 차량용 안전벨트 2만5천 개에 달한다. 특히 똑같은 디자인이 하나도 없는 것이 특징이다. 화려한 색상과 독특한 디자인으로 스위스 젊은이들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이 제품은 작년에만 20만개가 팔렸다. 현재 전 세계 350개 매장에서 팔리고 있다.

미국의 베트라죠(Vetrazzo)는 유리병을 재활용한 싱크대 상판을 만들어 천연 대리석 제품의 2배 가격에 팔고 있다. 버려지는 맥주명, 와인병, 신호등, 자동차유리, 건물유리창이 재료다. 유리를 녹이지 않고 깨뜨려 재활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은 물론 탄소배출까지 줄이는 친환경 제품이다. 다양한 색상의 유리병에서 나오는 고급 이미지와 천연 대리석의 2-3배 강도를 가진 이 싱크대는 리츠칼튼 호텔, 맥도날드 본사, 마이크로소프트 본사 등에 설치되어 있다. 이 회사는 미국 전역에 450개의 주문 가공 업체와 600개의 소매점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 판매액은 미국 부동산 경기 침체에도 불구 작년 판매면적인 110,000 스퀘어피트에서 32% 증가가 예상된다.

대만 방직기업들로 구성된 대만방직산업연맹은 페트병에서 추출한 섬유로 2010 남아공 월드컵 유니폼을 만들어냈다. 한국, 미국, 브라질, 네덜란드 등 월드컵 출전국 32개국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9개국 대표팀 선수들이 이 유니폼을 입었다. 이 유니폼 제작에는 대만에서 회수된 1,300만개의 페트병이 사용되었다. 페트병 섬유로 제작된 유니폼은 기존 옷감보다 13%가 가볍고 신축성도 10%가 더 있다. 땀의 흡수와 증발에도 좋아 활동량이 많은 운동선수에게 적합하다. 페트병 섬유 개발에는 페트병 회수, 분류, 가공, 제조, 염색 등의 과정에 대만의 4개 기업이 참여했고 10여 년의 시간이 걸렸다.

영국의 Green Bottle Unit사는 유리병으로 도로용 타일을 만들었다. 영국의 수도 런던의 작은 위성도시인 킹스턴은 자연경관과 역사를 간직한 전통마을로 보존되어 왔다. 그런데 이 지방의 도로는 유지비용이 많이 들고 새로 만드는데도 만만치 않은 예산이 필요해 어려움을 겪었다. 도시계획담당자들은 고민 끝에 재활용유리병을 도로타일로 만드는 것을 생각해냈다.

오스트리아 D.R.Z사는 폐가전제품으로 인테리어 가구 및 장신구를 만들었다. 이 회사는 이윤 추구적인 성격보다는 사회기여 성격이 강한 기관으로 폐기물의 재활용 및 판매라는 경제적인 요소와 이를 통한 실업자 및 미취업자 일거리 창출이라는 요소까지 강조하고 있다.

일본에는 지금 소리 소문 없이 주목을 끌고 있는 것이 폐타이어를 이용한 가방이다. 다 사용하고 난 타이어중에서도 리사이클하기 매우 어렵다고 알려진 승용차용 타이어의 원료를 고집해 엄선된 재료를 사용해 가방을 개발했다.

KOTRA 한선희 통상조사팀 처장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생소하지만 ‘리자인’은 그린산업에 나타나고 있는 세계적인 트렌드”라며, 폐기물에 기술과 디자인,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미해 명품을 만들어내는 각국의 사례를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본 정보는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디비닷컴(www.designdb.com)에서 제공한 자료이며, 상기 정보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동의 없이 무단으로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facebook twitter

이은정
잡지디자이너 과심은 여러분야에 관심은 많으나 노력은 부족함 디자인계에 정보를 알고싶어함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