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곽남신 展 - 껍데기
미술

무료

마감

2014-03-12 ~ 2014-04-30


전시행사 홈페이지
ocimuseum.org/


곽남신의 ‘껍데기’, 그 표면(surface)의 무게


덧없음에 대한 체험적 인식은 사람을 여유롭게 한다. 사람이 나이가 들어가며 얻는 멋이 그런 거다. ‘반드시 그래야 하는 법은 없다.’ 굳이 『논어』의 공자에게 없는 네 가지(四無) 중 하나, ‘기필(期必)’까지 말하지 않더라도, 50대를 넘어가는 중년이라면, 또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사람이라면 자연스레 다가오는 말이다. 젊은 시절의 집착과 욕망은, 그것이 외모든, 돈이나 권력이든 아무리 애써봤자 거기서 거기인데, 그렇게 아득바득 지내는 우리의 일상사는 자조(自嘲)를 자아낸다. 이런 생각을 “이미지로 나타낼 수 있을까”를 자문할 때 떠오르는 작업이 곽남신의 ‘표면 회화(surface painting)’이다.


《껍데기》라 명명한 이번 OCI미술관의 곽남신 개인전은 드로잉, 회화, 네온작업, 그리고 입체설치를 망라한다. 전시에 나오는 35점 중에는 그의 대표작인 ‘그림자 그림’을 포함한 평면작업 10점과 드로잉 20여점, 그리고 네온작품과 더불어 비닐합성의 입체작업 4점이 최초로 선보인다. 전시장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마주치는 근육 맨 ‘마초’의 드로잉에 이어 등장하는 커다란 또 다른 마초의 대형 인물 설치는 전시의 하이라이트다. 이어 그의 전형적인 검정 모노크롬의 여자 누드 회화 < Sexy Girl> (2007)이 그 섹시함을 과시하며 포르노 포즈를 취한다. 이렇게 성적 매력을 거하게 뽐내는 이미지에 이어, 2층의 회화 및 LED작업은 인물의 일상적 동작과 특징적 포즈가 단순한 실루엣과 물리적 표면 변형을 통해 넘치는 해학으로 표현된다.


전시의 중심에 자리 잡은 대형 설치작업 < 홍동지와상> (2014)은 작가의 새로운 시도이다. 본래 숙련된 회화의 기본기에 프랑스에서의 판화 수학으로 국내 판화계에 선구적 역할을 했던 그이다. 때문에, 3차원 입체로의 전환은 중견을 훌쩍 넘어선 작가의 젊은 실험정신이라 할 수 있다. 이 입체설치로의 확장으로 인해 이제부터는 ‘그림자 작가’라는 기존의 명칭이 제한적으로 들린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곽남신이 초기부터 가져온 작업의 주제와 관심사가 일관성을 잃지 않는다는 점이다. 회화의 ‘표면’과 입체의 ‘껍데기’는 결국 같은 것이 아니겠는가. 여러 매체를 넘나드는 곽남신의 유동적 표현언어를 단순히 작가의 자유로운 개성이라 말한다면, 이 작가의 중요한 미적 의도를 놓치는 거다. 묵직한 덩어리를 표면으로 채취하여 핵심적으로 시각화하는 고도의 세련된 감각은 그것이 평면이든 입체든 차이를 가질 수 없다. 그리고 대상을 보는 작가의 시각은 한결같다. 높은 산의 정상에 올라 내려다볼 때 느끼는 거리를 두고 보는 눈이다.


그런 작가의 넉넉한 시선과 동일시하여 보는 마초 입체작은 그 ‘용쓰는’ 자태가 안쓰럽기만 하다. 달밤에 체조하듯, 자신의 남성성을 한껏 ‘일으키려’ 애쓰다 힘에 부쳐 쳐졌다가 다시 또 시도하는 모습에서 부질없고 한시적인 젊음의 과시를 관찰한다. 그리고 이 남근적 역량에 대한 집착은 돈과 지위를 포함한 모든 권력에 대한 욕망과 과시로 확대 해석된다. 곽남신 작업의 핵심 미학은 이러한 ‘보편성’의 추출에 있다. 말하자면, 그가 설정한 인물 각각의 동작과 상황은 그 개별적 내러티브가 관건일 수 없다. 개별성을 통해 수렴되는 보편적 아이디어가 굵직하다. 심각한 덩어리를 얇은 예리함으로 펴 보이는 평면과 껍데기이기에, 단순한 가벼움으로 치부할 수 없는 작업이다. 작가가 “주제에 대한 심각한 대응방식이나 두툼한 마티에르 대신 가벼움을 더욱 선호”하게 된다고 할 때, 우리는 작업의 ‘가벼움’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음을 직감한다. 묵직한 덩어리의 무게를 가능한 한 떨궈내고 심각한 척하지 않는 점이 곽남신의 매력이다. 일상의 요지경을 유머와 위트로 포착해 낸 그의 이미지는 현학적 묘사가 필요치 않다.


그런데 이러한 인간만사, 희로애락을 포착하는 작가의 시선은 판단적(judgemental)이지 않다. 그래서 작가는 “나의 작업에 쓰인 모든 소재는 덧없는 우리의 삶을 들여다보는 거울”이라고 했나 보다. 그의 작업에서는 그 인물의 종류(성별)나 색깔이 별반 차이를 만들지 않는다. 그러한 분류나 선긋기는 평면 이미지의 실루엣이 지닌 보편 미학에 갈등 없이 녹아든다. 그래서 내 것, 네 것의 구분이 도통 철없어 보인다. 그래도 작가의 비판적 시선이 냉소적이지 않다. 한 때의 호기로 안간힘을 쓰는 일상의 세태에 대한 연민은 어느새 유머로 전환 돼 있다. 그의 작업은 보는 이를 웃게 한다. 누군가 그랬잖나. 비극보다 희극이 더 힘들다고. 중간에 반전이 있는 유머의 구조는 여유미(旅遊美)를 불러온다.


그의 함축적인 모노톤 작업에서는 형식과 내용이 따로 돌지 않는다. 그것은 그의 그림자가 실재의 대상과 분리되지 않는 것과 같다. 그의 ‘모티프’인 그림자는 존재와 대비되는 게 아니다. 실재와 허구는 애초부터 따로 있지 않았기에. 그의 작업을 통해 보는 실재의 기반이 바로 허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반대로, 곽남신의 ‘껍데기’ 회화가 비어 있지 않다는 논리가 성립된다. 덧없는 욕망이 바로 삶이었으니 씁쓸히 웃을 수밖에. 그렇다면 허구는 주어진 실재인가.


그래서 ‘그림자 작가’로 알려진 그의 그림자를 다르게 봐야할 것이다. 서구에서 그림자는 사진의 정체성을 받쳐주는 인덱스(index) 개념의 가장 명백한 사례이다. 실존의 증거이자, 존재하기(being)를 눈으로 보여주는 흔적이다. 그런데 서구 이분법의 핵심인 존재/부재 사이의 구분은 사물을 보는 작가의 시선에 녹아 희미해져 있다. 때문에 허상이 아닌 그림자, 미완(未完)이 아닌 실루엣, 그리고 꽉 찬 껍데기를 보는 것이다. 이 그림자와 실루엣, 그리고 껍데기는 상통하는 바가 있는데, 그것은 실존을 함축하고 가시적인 것을 넘어 비가시적 진실을 암시한다는 점이다. 예컨대, 작가는 자화상을 여기저기 그려 넣었는데, 가르마로 나눠진 ‘더벅머리’ 실루엣만으로도 자신의 존재
를 충분히 나타낸다. 마치 자신의 존재가 그 ‘껍데기’에만도 충분히 담긴다는 듯.


회화력을 기반으로 한 판화가이기에 매체의 자유로운 활용은 곽남신의 장점이다. 회화과 졸업 후 1980년대 파리 국립장식미술학교에서의 판화 탐구는 그의 표면 회화의 미적 맥락이다. 그런데 여기에 하나 더 붙이자면, 사진이 있다. 동작이 중요하고 역동적 제스쳐를 절묘하게 포착, 대상의 본질을 암시한다는 점에서 작가의 회화를 ‘흑백사진같은 그림’이라 말할 수 있다. 인물의 정적 묘사가 아니라, 제스쳐와 동작의 포즈가 사실 곽남신 작업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니까 어떻게 생겼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움직이고 어떤 습관적 포즈를 취하는가가 더 중요하다는 말이다. 특징적 움직임을 포착한다는 점에서 카메라의 시선을 닮아 있다. 그러한 표현의 형식에서는 로버트 롱고(Robert Longo)의 스타일리쉬한 흑백회화가 연상된다. 그러나 곽남신의 표면 회화에서는 대상에 대한 거리감이 확보되어 거기에 연민과 조소, 그리고 비판이 삽입되어 내용적으로 판이하게 다르다.


곽남신의 얇은 이미지와 간결한 실루엣은 일상의 모습을 함축적으로 요약한다. 석고작업을 할 때 덩어리를 주물로 뜨듯, 그의 껍데기는 일상적 삶의 구조틀이다. 빈 것이기는 하나 ‘없음’이 아니요, 표면이기는 하지만 피상적이지 않은 이유이다. 개념적, 언어적 표상이 범람하는 오늘의 미술계에 가볍게 ‘한 방 먹이는’ 작업이다. 권력과 욕망을 위해 질주하던 우리 자신에게 잃어버린 게 무엇인가를 뒤돌아보게 하니 말이다.


전영백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작가 약력

 

학력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및 동 대학우너 졸업


파리 국립 장식미술학교 졸업

 

주요 개인전

2011 ‘On Light’, 가인갤러리, 서울


2009 ‘Silhouette Puzzle’, 갤러리 이마주, 서울


2008 ‘바라보기’, 성곡미술관, 서울


2004 ‘덫’, 덕원 Cube, 서울



2004 ‘멀리누기’, 금산갤러리, 서울


등 국내외 20회

 

주요 단체전


2011 ‘이미지의 수사학’, 서울 시립 미술관, 서울


2011 ‘추상하라’, 국립 현대미술관 덕수궁 분관


2010 ‘Eternal Blinking’, 하와이 대학 갤러리


2010 ‘신호탄’, 국립현대미술관 기무사, 서울


2008 ‘반응하는 눈’, 서울 시립미술관, 서울


2008 ‘5개의 개인전’, 코리아 아트센터, 부산


2005 ‘미술과 수학의 교감’, 사비나 미술관, 서울


2004 ‘그림자의 이면’, 대전 시립 미술관, 대전


2004 ‘자연, 평화, 미술’, 사라예보 동계 축제, 사라예보 국립 미술관


2004 ‘현대미술의 시각’, 세종문화회관 기획, 미술관 본관, 서울


2003 ‘Crossing 2003 Korea / Hawaii, East-West Center Gallery, Hawaii


2001 ‘사불산 윤필암’, 학고재, 서울


2001 ‘횡단하는 이미지’, 갤러리 피쉬


2000 ‘독일 국제 판화전, 프레헨, 독일


2000 ‘크라코프 국제 판화 비엔날레’, 류블리아나, 슬로베니아


1999 ‘비엘라 국제 판화전’, 비엘라, 이탈리아


1997 ‘류블리아나 국제 판화비엔날레, 류블리아나, 슬로베니아


1997 ‘International Print Triennial’ 시립미술관, 크라코프, 폴란드


1996 ‘한국현대미술의 평면회화 주소찾기전’, 성곡미술관, 서울


1993 ‘한국현대판화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91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 갈등과 대결의 시대’, 환원미술관, 서울



현재

한국 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교수

facebook tw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