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인물과 풍경 _ 지효섭개인전
미술 마감

2007-03-23 ~ 2007-04-01




전시개요
1. 전시명 : 지효섭 개인전 - 인물 과  풍경
2. 전시장소 : 노암갤러리 전관
3. 전시기간 : 2007. 3. 23 (금) ~ 4. 1 (일) opening: 2007. 3. 23 (금) 오후6시
4. 장르 : 회화
5. 전시구성
  1) 전시실 : <가족이야기> 시리즈 7점
  2) 전시실 : <가족이야기> 시리즈의 등장인물 4점 , <국립공원> 시리즈 4점
6. 후원 : 한국문화 예술 위원회


오는 3월 23일 (금) ~ 4월 1일 (일), 노암갤러리에서 <지효섭 개인전 - 인물과 풍경> 展을 갖습니다. 지효섭(1973년~ )의 이번 전시는 1998년 홍익대 회화과를 졸업하고 오랜동안 묵묵히 작업을 하면서 내공을 쌓다가 드디어 갖게 된 첫 번째 전시입니다. 첫 전시이긴 하지만 전시되는 작품을 직접 목격하신다면 꽤 놀라운 느낌을 받으실 것이라 확신합니다.

전시는 크게 두가지 시리즈로 구성됩니다. 하나는 <가족이야기> 시리즈로서 스토리를 갖고 있는 이야기꾼1,2,3,4 와 등장인물들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하나는 <국립공원> 시리즈로서 동해, 설악산, 식물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야기 꾼> 의 간략한 줄거리는, 딸들이 고양이로 표현된 가정의 제왕(아버지)을 천사들의 도움을 받아 포획하고, 갇혀있던 왕비를 구출합니다. 그러나 홍수가 나서 제왕은 물에 떠내려가면서 탈출하고 왕비는 물에 빠졌다가 다시 구출됩니다. 그리고 가정으로 돌아온 왕비는 딸들에게 음악수업을 가르치면서 생활하다가, 저녁식사 중 떠내려갔던 왕이 다시 가정으로 돌아온다는 얘기입니다. ‘가정의 평화'를 보여주고자 한 작가의 이야기이지만 이야기를 구성하고 있는 세세한 이유나 원인은 불분명해서 ‘왜' ‘그래서 뭐'에 대한 질문에 명쾌한 답을 제시하지는 않습니다. <국립공원> 시리즈는 스토리가 있는 것은 아니고, 산과 바다, 동식물들이 만나는 장소로서 작가가 보고 싶고 이름붙이고 싶은 광경들 중의 하나입니다.


비 재현적 회화가 표현하는 것들
지효섭은“단지 내가 보고 싶은 광경을 그릴 뿐입니다”라고 자신의 그림에 대해서 간결하게 말한다. 이 말에는 사실 그의 작품 안에 포함되어 있는 어떤 대립이 함축되어 있다. 재현과 비재현의 문제인데, 그는 사실적인 재현이 아니라, 사실 자체를 그리는 것에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적인 재현이라면 그것은 작가에게는 아주 쉬운 문제일 수 있다. 단지 어떤 역사나 실제인물을 등장시키면서 자신의 상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된다. 이는 모든 구상미술의 기획으로서, 이러한 기획은 예시적이고 서사적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하나의 스토리를 갖는다. 하지만 이는 오로지 작가의 의도만큼 만이며, 게다가 스토리를 부연 설명하는 정도에 그친다. 말하자면 삽화로서, 시작부터 회화가 그 자체에 의해 작동할 가능성을 제거하고 고유한 회화적 사실을 놓치게 된다. 하지만 그는 이러한 기획과는 반대로 회화에 사실성을 부여한다. 말하자면 회화자체가 하나의 사실이 되는 것이다.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는 질료들은 작가가 찾고자 했던 광경을 구성하는 요소들 또는 형상들을 생산해 낸다. 이는 막연한 추상적인 서술이 아니라 실제로 그림을 보고 있으면 감각하게 되는 현상이다.


물감들은 중력만큼 작용하면서 흘러내리다가 다른 붓질, 즉 어떤 흔적들로 인해 윤곽을 만들고, 윤곽들은 작가로 하여금 또 다른 붓질을 요구하면서 결국 작가의 의도와 모호한 연관성을 지닌 채 어떤 형상으로 드러난다. 이는 물감들의 소용돌이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는 사진사가 있는 <편지> 에서 확연하게 목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긴장상태에서 나타나는 형상들은 거대한 광경을 구성하게 된다. 이는 오로지 작가와 질료가 맺은 가족관계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낯설기도 하고 또는 그렇지 않기도 한, 딱 그 정도의 친밀감을 갖게 한다. 형상의 현존, 이것이 회화적 사실을 포착했다고 볼 수 있는 첫 번째 이유이다. 두 번째 이유는 화면을 가득채운 텍스처이다. 이는 우리의 감각들을 직접적으로 치고 들어오면서 우리의 감각작용만을 요구한다. 눈으로 만지기, 이는 뇌에 직접 전달되는 추상적인 형식이라기보다 우리의 신경계에 직접 전달되는 형상적인 질감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따라서 결코 우리의 인식에 완전히 포섭되는 일은 없게 된다. 말하자면 정확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세 번째 이유는 『이야기 꾼』시리즈에서 보이는 특징인데, 등장인물들을 서술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증인을 통해서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왕의 포획> 우측하단에 등장하는 화가와 <홍수> 의 우측상단에 등장하는 사진 찍는 탐사꾼이 바로, 화면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건의 증인기능을 하고 있다. “연극 무대에서처럼, 세 명의 배우가 등장했을 때, 첫 번째 배우는 움직이고, 두 번째 배우는 첫 번째 배우의 행위를 수동적으로 겪으며, 세 번째의 움직이지 않는 배우는 이러한 사실에 참여한다.” <아기예수를 바라보는 20개의 시선> 의 작곡가 올리비에 메시앙이 음악에 대해서 말할 때 제시한 이 세 가지 리듬, 즉 적극적인 능동적 리듬과 수축되는 수동적 리듬, 그리고 증인이 있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이야기 꾼』시리즈에 세 가지 리듬이 존재하고 있다. 딸들이 천사와 함께 아버지인 제왕을 포획하고, 수동적인 리듬으로서 왕은 포획당하며, 증인들은 이러한 사실에 참여한다. 이러한 증인의 기능을 통해 세 층위의 리듬이 공명하며, 비로소 회화적 사실이 되는 것이다.


눈을 가리고 있는 소녀라든지, 화면을 횡단하는 추상적인 선들이나 지운 흔적들, 주름들 등 뒷받침할 수 있는 더 많은 요소들을 찾을 수 있겠으나, 앞서 나열한 세 가지 특징만으로도 작가가 보고 싶은 광경이 재현적인 것이 아니라, 굳이 말하자면 비재현적인 것으로서, 즉 모든 것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는 하나의‘사실-회화'란 것이 입증된다. 아니, 입증 될 것이다. 우리가 마치 음악을 들을 때처럼 아무 생각 없이 몸을 내맡기기만 한다면 말이다. / 박순영(큐레이터,노암갤러리)


관람안내
1. 관람료는 없습니다.
2. 개관시간 : 오전 10시 30분 ~ 오후 7시 (전시기간중 무휴)
3. 찾아오시는 길 : 종로2가에서 들어오는 인사동 입구 대일빌딩 맞은편, 승동교회 옆
   가. 지하철 : 1호선 종각역 3번출구, 3호선 안국역 6번출구, 5호선 종로3가역 5번출구
   나. 버스 : 종각역, 조계사 입구, 안국역 하차
4. 작품이미지는 여기를 클릭하시거나 웹하드(ID: noamgallery PW:2235) 전시폴더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facebook twitter